정부가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'상생페이백' 제도를 시행합니다. 2024년 대비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신용·체크카드 사용액이 늘어난 만큼의 20%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제도인데요. 상생페이백 최대 30만원 환급 금액 신청 시기 함께 알아볼까요?
상생페이백이란?
상생페이백은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을 기준으로,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늘어난 소비 증가분의 20%를 돌려주는 제도입니다. 예를 들어,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이 100만 원이었는데 2025년 9월에 120만 원을 사용했다면, 증가분 20만 원의 20%인 4만 원을 페이백 받는 식이죠.
환급 금액: 월 최대 10만 원, 3개월간 총 30만 원까지
환급 방식: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
사용처: 전통시장, 상점가 등 약 13만 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
사용 기한: 지급일로부터 5년
신청 조건
상생페이백은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.
2024년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국민 및 외국인 (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)
온라인 본인인증을 통해 직접 신청해야 하므로, 대리 신청은 불가능합니다.
신청 기간 및 방법
신청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.
신청 기간: 2025년 9월 15일(월) 오전 9시부터 11월 30일(일) 자정까지
신청 방법: 상생페이백 누리집(상생페이백.kr)에서 신청. 별도 서류 제출 없이 한 번만 신청하면 3개월간 늘어난 소비 증가분이 자동으로 환급됩니다.
요일제 운영: 신청이 몰리는 첫 주(9월 15일~19일)에는 출생 연도 끝자리에 따른 5부제가 적용됩니다. 9월 20일 이후부터는 요일 제한 없이 언제든 신청할 수 있습니다.
환급 실적 인정 및 불인정 사용처
모든 카드 사용액이 환급 대상은 아닙니다.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취지에 맞게 특정 사용처에서 결제한 금액만 인정됩니다.
인정되는 사용처
전통시장 및 상점가
소상공인 운영 음식점, 동네 마트, 개인 미용실, 세탁소 등
대면 결제(만나서 결제)하는 경우의 배달 앱 결제
실적에서 제외되는 사용처
대형마트, 백화점, 아울렛, 기업형 슈퍼마켓
온라인 쇼핑몰, 배달 앱 온라인 결제, 키오스크 결제
대기업 브랜드 프랜차이즈 직영점(편의점, 커피전문점 등)
해외 사용액, 세금, 공공요금, 교통·통신비 자동이체 등
정확한 사용처 정보는 상생페이백 누리집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.
환급 지급일
환급은 월별로 정산되어 지급됩니다.
9월 사용분 페이백: 10월 15일경 지급
10월 사용분 페이백: 11월 15일경 지급
11월 사용분 페이백: 12월 15일경 지급
상생페이백은 우리 모두가 소비를 통해 지역 경제를 살리고, 소상공인을 도울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. 신청 조건과 방법을 미리 확인하셔서 최대 30만 원의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.